인터넷이란?

1. 인터넷이란? (호스트, 통신 링크, 패킷 교환)
- 인터넷은 수십억 개의 컴퓨터(호스트)를 연결한 네트워크들의 집합이다. "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"
- 호스트(Host):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장치 (예: 컴퓨터, 스마트폰, 서버).
- 통신 링크(Communication Links): 호스트 간 연결을 제공하는 매체. 광섬유, 구리선, 무선, 위성 등이 포함된다.
- 패킷 교환(Packet Switching): 데이터를 작은 단위(패킷)로 나누어 보내고, 이를 목적지에서 다시 조립한다. 효율적이고 자원 공유가 가능하지만, 지연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.
2. 인터넷이란? - "nuts and bolts" 관점과 서비스 관점
- "Nuts and bolts" 관점: 인터넷의 구조적, 기술적 구성요소에 집중. 예) 라우터, 링크, 프로토콜, 통신 장비 등.
- 서비스 관점: 인터넷이 사용자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초점을 맞춤. 예) 웹, 이메일, VoIP, SNS 등.
-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으며, API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함.
3. 프로토콜이란? - 네트워크 프로토콜, OSI와 TCP/IP 계층
- 프로토콜(Protocol): 두 통신 개체 간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때의 규칙과 절차.
- 형식(Format), 순서(Order), 동작(Action)을 정의함.
- 네트워크 프로토콜: TCP, IP, HTTP, DNS 등. 네트워크 상에서 모든 데이터 통신은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된다.

- TCP/IP 프로토콜 스택 (인터넷에서 실제 사용):
- Application: HTTP, FTP 등
- Transport: TCP, UDP
- Internet: IP
- Network Interface
Link: Ethernet, Wi-Fi
- OSI 7계층 모델 :
- Application
- Presentation
- Session
- Transport
- Network
- Data Link
- Physical
4. 네트워크의 가장자리, 접속 네트워크, 네트워크 중심
- 네트워크의 가장자리 (Network Edge):
- 호스트(종단 시스템): 사용자 장치로,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(데이터센터에 위치) 역할 수행.
- 예: 사용자가 사용하는 노트북, 스마트폰, 서버 등.
A. 네트워크의 ‘끝’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,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를 말함. → 즉,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를 ‘사용’하거나 ‘제공’하는 쪽이에요.
서버(Server)와 라우터(Router)의 차이
항목 | 서버 | 라우터 |
---|---|---|
위치 | 네트워크의 끝 (종단) | 네트워크 중간 |
역할 |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받는 주체 | 데이터를 중계하고 전달 |
애플리케이션 실행 | 예 (웹서버, 이메일서버 등) | 아니오 |
종단 시스템 여부 | 예 | 아니오 |
- 접속 네트워크 (Access Network):
- 유선 링크: DSL, 케이블, 이더넷, FTTH 등.
- 무선 링크: Wi-Fi(802.11), 이동통신망(3G, LTE, 5G).
- 기능: 종단 시스템이 ISP의 라우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을 제공.
- 네트워크 중심 (Network Core):
- 라우터(Router)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달.
- 각 라우터는 패킷을 적절한 방향으로 전달하며, 종단 간 경로를 구성.
- 여러 ISP,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전체 인터넷이 구성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