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Git 명령어 정리_gpt 버전

✅ Git 명령어 정리_gpt 버전

📁 원격 저장소에서 프로젝트 가져오기

git clone <gitea-저장소-주소>
cd <프로젝트_폴더명>

  • git clone: 원격 저장소(gitea, GitHub 등)의 코드를 내 컴퓨터로 복사
  • 주의: git clone은 처음 한 번만!
  • 이후엔 폴더 이동만 하면 됨 → cd <프로젝트명>

🌿 브랜치 관련 명령어

🌿 브랜치 관련 명령어

🔍 브랜치 확인

git branch

🔁 브랜치 변경

# 방법 1
git switch <브랜치이름>

# 방법 2
git checkout <브랜치이름>

브랜치 생성과 동시에 이동

git checkout -b <새_브랜치이름>

🧼 브랜치 병합 (merge)

git merge <다른_브랜치명>

  • 현재 브랜치에, 다른 브랜치의 내용을 합치는 명령어
  • 주로 main 브랜치에 기능 브랜치를 병합할 때 사용

Tip: 충돌(conflict)이 생기면 수정 후 addcommit 하면 됨


⬇️ 작업 전 준비

git pull origin main # 최신 코드 가져오기
git status # 변경 사항 확인


✏️ 작업 중

code myfile.py # 기존 파일 열기
touch newfile.py # 새 파일 만들기 + code newfile.py # 새 파일 열기


💾 작업 저장

git add . # 전체 변경 파일 추가
git add ./폴더명 # 특정 폴더 내 변경 파일만 추가
git add filename.js # 특정 파일만 추가

git status # 상태 확인

git commit -m "작업 내용 요약" # 커밋 메시지 작성


⬆️ 서버(Git)에 업로드

git push origin <브랜치이름> # 처음 업로드 시 브랜치명 명시
git push # 이후엔 현재 브랜치 기준으로 push됨

git status # 상태 재확인


📂 VSCode에서 프로젝트 열기

code .


Read more

클라이언트-서버(client-server) 구조 vs 피어-투-피어(peer-to-peer, P2P) 구조

* Application architectures * 클라이언트-서버(client-server) 구조 * 피어-투-피어(peer-to-peer, P2P)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에 따라 나뉘는 대표적인 두 가지 아키텍처 1. 기본 개념 구분 클라이언트-서버 (Client-Server) 피어-투-피어 (Peer-to-Peer, P2P) 구조 중앙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 모든 노드가 동등하며 직접 통신 역할 서버: 제공자, 클라이언트: 요청자 각 노드가 클라이언트이자 서버 역할

By Youn

포워딩 vs 라우팅

1. 네트워크 코어: 패킷 교환 (Packet Switching) * 인터넷의 중심부에서는 데이터를 패킷(packet) 단위로 나눠서 전달함. *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경로를 따라 전달되며, 최종 목적지에서 재조립됨. * 효율적인 자원 공유가 가능하고, 회선 설정이 필요 없어 유연함. 2. 패킷 교환의 특징 저장 후 전달 (Store-and-Forward) * 각 라우터는 전체 패킷을 받은 후 다음 라우터로 전송함.

By You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