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이언트-서버(client-server) 구조 vs 피어-투-피어(peer-to-peer, P2P) 구조
- Application architectures
- 클라이언트-서버(client-server) 구조
- 피어-투-피어(peer-to-peer, P2P) 구조
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에 따라 나뉘는 대표적인 두 가지 아키텍처
1. 기본 개념

구분 | 클라이언트-서버 (Client-Server) | 피어-투-피어 (Peer-to-Peer, P2P) |
---|---|---|
구조 | 중앙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 | 모든 노드가 동등하며 직접 통신 |
역할 | 서버: 제공자, 클라이언트: 요청자 | 각 노드가 클라이언트이자 서버 역할 수행 |
예시 | 웹사이트 접속, 이메일 서버 | 토렌트, Skype, 블록체인 |
2. 특징 비교


C-S vs P2P
항목 | 클라이언트-서버 | 피어-투-피어 |
---|---|---|
중앙 집중성 | 서버에 집중됨 (중앙화) | 분산 구조 (탈중앙화) |
확장성 | 서버 용량이 한계 | 노드가 늘어나면 성능 향상 |
보안 | 보안 통제 용이 (중앙 관리) | 개별 노드에 의존 → 보안 취약 |
설치/관리 | 서버 유지 비용 필요 | 개별 사용자 설치 및 참여 |
성능 | 많은 요청 시 서버 부하 증가 | 분산 처리로 부하 분산 가능 |
데이터 신뢰성 | 서버가 다운되면 전체 서비스 영향 | 일부 노드 문제여도 전체 시스템 유지 가능 |
3. 장단점
- 클라이언트-서버
- 장점:
- 중앙 집중 관리 가능 → 업데이트 및 보안 용이
- 데이터 백업, 접근 제어 용이
- 단점:
- 서버가 다운되면 서비스 전체 불가
- 서버 설치 및 유지에 비용 발생
- 장점:
- 피어-투-피어
- 장점:
- 고장에 강함 (분산 구조)
- 서버 없이도 자유롭게 통신 가능
- 단점:
- 보안 및 신뢰성 문제
- 데이터 일관성 유지 어려움
- 장점:
요약
- 클라이언트-서버: 중앙 서버가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전통적인 구조, 관리와 보안이 용이하나 확장성과 장애 대응에 한계가 있음.
- 피어-투-피어: 모든 노드가 동등하게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,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나지만 보안과 관리가 어려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