패킷 전송 지연


1. 호스트: 패킷 전송 지연 (Transmission Delay)

  • 전송 지연 (Transmission Delay)란?
    → 호스트가 패킷을 전송할 때, 그 패킷의 전체 비트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
  1. 응용 메시지 수신
  2. 길이 L비트의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자름
  3. 전송률R 로 접속 네트워크에 패킷 전송

2. 물리 매체 (Physical Media)

물리 매체는 데이터를 전기적, 광학적 신호로 전송하는 통로.

크게 두 종류:

1) 유도 매체 (Guided Media)

  • 전송 경로가 물리적으로 특정되어 있음
  • 종류:
    • 꼬임선 케이블 (Twisted Pair): LAN, 전화선
    • 동축 케이블 (Coaxial Cable): TV, 인터넷
    • 광섬유 케이블 (Optical Fiber): 빛으로 전송, 고속·장거리

2) 비유도 매체 (Unguided Media)

  • 신호가 공기 중으로 전파됨 (무선 통신)
  • 종류:
    • 전파 (Radio Waves): Wi-Fi, LTE, 5G
    • 마이크로파 (Microwaves): 위성 통신
    • 적외선 (Infrared): 리모컨, 근거리 무선

Read more

클라이언트-서버(client-server) 구조 vs 피어-투-피어(peer-to-peer, P2P) 구조

* Application architectures * 클라이언트-서버(client-server) 구조 * 피어-투-피어(peer-to-peer, P2P)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에 따라 나뉘는 대표적인 두 가지 아키텍처 1. 기본 개념 구분 클라이언트-서버 (Client-Server) 피어-투-피어 (Peer-to-Peer, P2P) 구조 중앙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 모든 노드가 동등하며 직접 통신 역할 서버: 제공자, 클라이언트: 요청자 각 노드가 클라이언트이자 서버 역할

By Youn

포워딩 vs 라우팅

1. 네트워크 코어: 패킷 교환 (Packet Switching) * 인터넷의 중심부에서는 데이터를 패킷(packet) 단위로 나눠서 전달함. *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경로를 따라 전달되며, 최종 목적지에서 재조립됨. * 효율적인 자원 공유가 가능하고, 회선 설정이 필요 없어 유연함. 2. 패킷 교환의 특징 저장 후 전달 (Store-and-Forward) * 각 라우터는 전체 패킷을 받은 후 다음 라우터로 전송함.

By Youn